노자(老子)는 춘추시대 초나라의 철학자로 전해지고 있다. 성은 이(李), 이름은 이(耳), 시호는 담(聃)이다.
생애
허난 성 루이 현 사람으로 주왕을 섬겼으나, 뒤에 관직을 버렸다.
그는 중국에서 우주의 만물에 대하여 생각한 최초의 사람으로, 그가 발견한 우주의 진리를 '도'(道)라고 이름지었다. 그 도를 중심으로 하는 신앙을 '도교'라고 하며, 그는 우주 만물이 이루어지는 근본적인 이치가 곧 '도'라고 설명하였다.
노자의 실체
사마천(司馬遷)은 《사기》에서 노자로 상정되는 인물이 3인이 있다고 하였다. (老子 韓非列傳). 첫째로 이이(李耳, 자는 담(聃=老聃)를 들었다. 그는 초나라 사람으로 공자가 예(禮)를 배운 사람이며, 도덕의 말 5천여 언(言)을 저작한 사람인데 그의 최후는 알지 못한다고 한다. 다음에 든 사람은 역시 공자와 동시대의 노래자(老萊子)로서 저서는 15편 있었다 한다. 세 번째 든 것은 주(周)의 태사담이라는 사람으로 공자의 사후 100년 이상 경과한 때에 진(秦)의 헌공과 회담하였다고 한다. 결론적으로 '노자는 은군자(隱君子)'라는 것이다. 세상에서 말하는 노자라고 하는 이는 은자로서 그 사람됨을 정확히 알 수 없다는 것이다.
후세에 노자라고 하면 공자에게 예를 가르쳤다고 하는 이이(李耳)를 생각하는 것이 상례이나, 이이라고 하는 인물은 도가의 사상이 왕성하던 시기에 그 사상의 시조로서 공자보다도 위인(偉人)이었다고 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전설일지도 모르겠다.[모호한 표현]펑유란(馮友蘭)은 노자가 전국시대의 사람이었다고 하는 것을 강하게 주장한다. 이에 근거하여 노자가 실존인물이라고 가정한다면 최소한 도덕경 죽간본(BC 300년경) 이전일 수밖에 없으며 한비자(BC 280~BC 233)가 도덕경을 인용하였으므로 한비자보다 앞선다. 또 도덕경에는 유가사상을 비판하는 내용이 많은데 이는 백서본(갑본은 전국시대 말기, 을본은 한나라 초기) 이후가 반유가적인 것이며 죽간본은 덜하다.
사상
도는 성질이나 모양을 가지지 않으며, 변하거나 없어지지 않으며, 항상 어디에나 있다.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형태의 우주 만물은 다만 도가 밖으로 나타나는 모습에 지나지 않는다. 모든 우주 만물의 형태는 그 근본을 따지면 결국은 17가지 진리에 도달하게 된다는 것이 그의 사상이다.
그의 사상은 그의 저서 <노자 도덕경> 속에 있는 '무위 자연'이라는 말로 나타낼 수 있다. 사람이 우주의 근본이며, 진리인 도의 길에 도달하려면 자연의 법칙에 따라 살아야 한다는 것이 그의 '무위 자연' 사상이다. 즉, 법률·도덕·풍속·문화 등 인위적인 것에 얽매이지 말고 사람의 가장 순수한 양심에 따라,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지키며 살아갈 때 비로소 도에 이를 수 있다고 하였다.
그는 후세에 '도교의 시조'로 불리고, 그 사상은 '노장 사상' 또는 '도가 사상'으로 발전하여 유교와 함께 중국 정신 사상사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지게 되었다.
노자 도덕경
노자의 말이라고 하여 오늘날 《노자》(老子道德經이라고도 한다) 상·하 2권 81장이 남겨져 있다. 거기서 기술되고 있는 사상은 확실히 도(道)의 본질, 현상계의 생활하는 철학이다. 예컨대 도를 논하여 이렇게 말한다.
'도(道)'는 만물을 생장시키지만 만물을 자신의 소유로는 하지 않는다. 도는 만물을 형성시키지만 그 공(功)을 내세우지 않는다. 도는 만물의 장(長)이지만 만물을 주재하지 않는다'(10장). 이런 사고는 만물의 형성·변화는 원래 스스로 그러한 것이며 또한 거기에는 예정된 목적조차 없다는 생각에서 유래되었다.
노자의 말에 나타난 사상은 유심론으로 생각되고 있으나 펑유란은 도에 대해서는 사고방식은 일종의 유물론으로서 무신론에 연결되는 것이라고 한다. 그 이해는 뛰어난 것이다. 또 '도(道)는 자연(自然)을 법(法)한다'(55장)고 하는데 이것은 사람이 자기 의지를 가지고 자연계를 지배하는 일은 불가능함을 설명한 것이다. 이 이론은 유가(儒家)의 천인감응(天人感應)적 생각을 부정하는 것이기도 하다.
노자가 보인 인생관은 "유약한 자는 생(生)의 도(徒)이다" (76장). "유약은 강강(剛强)에 승한다."(36장) "상선(上善)은 물과 같다.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지만 다투지 않는다. 그러면서 뭇 사람들이 싫어하는 곳에 처한다. 때문에 도에 가깝다"(8장), "천하의 유약하기는 물보다 더한 것이 없다"(78장) 등의 구절에서 보듯이 어디까지나 나를 내세우지 않고 세상의 흐름을 따라 세상과 함께 사는 일을 권하는 것이다. 그러한 사상을 겸하부쟁((謙下不爭) 이라고 하는 말로써 환언(換言)하고 있다.
노자는 또 "도(道)는 일(一)을 생하고 일은 이(二)를 생하고 이는 삼(三)을 생하고 삼은 만물을 생한다."(42장)고 하는 식의 일원론적인 우주생성론을 생각하고 있었다.
https://ko.wikipedia.org/wiki/%EB%85%B8%EC%9E%90 위키백과
'도(道, The Way)'라는 작은 책을 쓴 철학자,
노자는 구제국의 기억삭제/최면요법의 영향을 모두 극복하고 지구를 탈출한 위대한 지혜의 소유자였다.
그가 구제국의 영향을 극복하고 지구를 탈출할 수 있었던 것은 이즈비의 본질을 깊이 이해했기 때문이다.
전해지는 전설에 의하면 그는 인간으로서의 마지막 생을 중국의 작은 마을에서 보냈다고 한다.
그는 자신의 삶의 본질을 깊이 숙고하였다.
고타마 싯다르타처럼 그는 자신의 생각과 전생을 직시하였다.
그렇게 하여 자신의 기억과 능력과 불멸성을 일부 되찾았다.
나이가 들자 그는 산으로 들어가 거기서 육체를 떠나기로 결정을 내렸다.
그가 길을 나서자 마을을 지키던 문지기가 그를 붙잡고 떠나기 전에 그의 가르침을 글로 남겨달라고 간절히 부탁했다.
그가 그 자신의 영을 재발견했던 '도(道)'에 대해 남긴 짤막한 가르침이 여기 있다.
보는 자는 보지 못할 것이며
듣는 자는 듣지 못할 것이며
찾는 자는 붙잡지 못할 것이다.
무형의 무존재, 움직임의 움직임 없는 근원이다.
영의 무한한 본질이 생명의 근원이다.
영은 영 스스로이다.
영은 영 그 자체이다.
벽이 생기고 방을 만든다.
그럼에도 벽 사이의 공간이 가장 중요하다.
항아리는 진흙으로 만든다.
그럼에도 그 속에 생긴 공간이 가장 중요하다.
행동은 무언가에 무엇도 아닌 힘에 의해 드러난다.
무엇도 아닌 영 그대로가 모든 형상의 근원이다.
사람은 육신이 있기 때문에 엄청난 고통을 겪는다.
육신이 없다면 무슨 고통이 있겠는가?
영보다 육신을 더 아끼면,
그 자는 육체가 되고 영은 길을 잃는다.
그 자신, 그 영이 환영을 만들어낸다.
인간의 착각은 현실이 환영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환영을 창조하고 현실보다 더 그럴싸하게 만드는 자는
영의 길을 따라 천국으로 가는 길을 발견한다.
-출처 : 외계인 인터뷰 中-
전설에 따르면 노자는 물소를 타고 주나라를 떠났다
<외계인 인터뷰>는 1947년 뉴멕시코주 로스웰 근처에 추락한 비행접시에서 구조된 장교이자
파일럿, 그리고 엔지니어라고 주장하는 '에어럴'이라는 외계인과의 인터뷰 내용이다.
여기서는 살을 가진 이즈비(인간)들을 영원히 통제하기 위해
전자지배장의 덫을 만들어 놓은 지구를 <감옥행성>으로 나타낸다.
http://blog.naver.com/peti1080/220278824964 샴발라
영적인 길을 가다 보면 자기 스스로 인지하고 느낄 수 있는 여러 현상과 마주하게 된다. 그리고 그것이 때로는 그토록 도달하고자 염원하던 궁극의 단계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것은 그 길을 가는 사람들이 반드시 거쳐야 할 관문이며, 극복하고 넘어가야만 하는 환영으로 만들어 놓은 다양한 전자지배장의 그물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것을 빠져나가기가 그토록 쉬운 것이었다면 이미 수많은 깨달은 이들이 나타나야 하지만 불행히도 그것을 완벽히 뛰어넘기는 너무나 어렵다고 한다.
하지만 또한 불가능한 것이 아님을 부처나 노자께서 이미 보여 주셨다.
그래서 어떤 새로운 경험과 마주하거나 스스로 어떤 경지에 도달했다 느껴지는 순간이 오면 그 단계를 완전히 경험하고, 더 더욱 자신을 완벽하게 비우기 위해 노력하고, 때론 부정하고 또 길을 가기를 반복하면서 계속 성장 해 나가다 보면 마침내 스스로 완전히 빛날 날이 올 것이다.
도저히 빠져 나갈 수 없게 통제하고 있는 그들의 강력한 그물망에서 탈출하여 지구라는 감옥행성으로부터 자유를 찾고 윤회의 사슬에서 벗어나 불멸의 영적 존재임을 자각하는 것!
우리가 궁극적으로 나아가야 할 길이 아닐까?
모든걸 다 비우고 비워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과 같이 자유로운 존재가 되기 위해~~
오늘도 각자의 길에서 소중한 시간을 ^^*
노자의 교훈
노자는 도덕경(道德經)에서 이르기를
죄악(罪惡)중에 탐욕보다 더 큰 죄악이 없고
재앙(災殃)중에는 만족할 줄 모르는 것 보다
더 큰 재앙이 없고
허물중에는 욕망을 채우려는 것 보다
더 큰 허물은 없느니라 고 했다.
'의식의 각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바보같이 우물을 팠던 사람 ( BG (0) | 2015.06.26 |
---|---|
[스크랩] 놀라운 명상의 힘 (0) | 2015.06.21 |
[스크랩] 단전호흡,뇌호흡,기공요법 (0) | 2015.06.16 |
[스크랩] 아메리카 인디언의 도덕경 (0) | 2015.06.08 |
[스크랩] 명상이 당신의 두뇌를 개조할 수 있다. (0) | 2015.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