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과 속설 사이…뇌를 둘러싼 오해 6가지
방승언 기자 / 입력 2016.02.07 17:34 ㅣ 수정 2016.02.07 17:34
기사 원문,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207601019§ion=culture&type=&page=
과학 전문지 ‘파퓰러 사이언스’는 2일(현지 시간),
많은 이들이 사실로 믿고 있지만, 과학적 근거가 충분하지 않은,
‘뇌에 관한 오해’ 몇 가지를 해명했다.
그 중, 일부를 발췌해 소개한다.
1. 인간은 두뇌의 일부만을 활용할 수 있다.
앞서도 언급된 이 유명한 속설의 ‘발단’이 된 사람은
1900년대에 활동한 심리학자 윌리엄 제임스이다.
1907년에 그는 “인간은 주어진 정신적 · 신체적 역량의 극히 일부만을 활용하고 있다”라고 발언했는데,
이후 한 기자가 이 말을,
‘평범한 인간은 전체 정신 능력의 10% 만을 개발할 수 있다’라고 와전한 이래,
이러한 오해가 널리 퍼지게 됐다.
그러나, 현대 의학 장비를 이용해 개인의 두뇌 활동을 조사해보면,
인간이 자기 두뇌의 전 영역을 고루 활용한다는 사실이 명확히 드러난다.
두뇌의 일부분만 손상돼도, 전반적 정신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 역시, 이 때문이다.
2. 클래식 음악은 자녀 두뇌 발달에 좋다.
이러한 믿음은
1993년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 캠퍼스 연구 팀이 진행했던 실험에서 비롯됐다.
당시 연구 팀은 대학생들을 세 그룹으로 나눠,
각각 모차르트 음악을 듣거나, 긴장 완화 체조를 실시하거나, 침묵 속에서 대기하도록 한 뒤,
IQ 테스트를 치르도록 했다.
연구 팀은 실험 결과,
모차르트의 음악을 청취한 학생들의 점수가 가장 높다는 점을 들어,
이 같은 이론을 내놓았다.
그러나 이후, 여러 과학자들이 이 실험을 반복해 보았지만,
이 중 동일한 연구 결과를 얻었던 사례는 단 한 건도 없었다.
오히려, 1999년 하버드 대학교의 한 연구 팀은
유사 연구들 16건을 분석한 뒤,
이른바, ‘모차르트 효과’가 거짓에 해당한다고 결론내린 바 있다.
3. 성인이 되면, 뇌세포 성장이 중단된다.
1998년, 스웨덴 과학자들은
성인이 된 이후에도,
장기 기억을 관장하는 두뇌 영역인 ‘해마’에서 새로운 뇌세포가 생성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최근 2014년에도,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의 과학자들이
운동 능력 및 자의식에 관여하는 신경 조직인 ‘선조체’가
평생에 걸쳐 새로운 뉴런을 형성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4. 남녀의 특기가 다른 이유는 두뇌 구조 자체가 다르기 때문이다.
남녀가 서로 다른 분야에 두각을 나타내는 이유는
생물학적 이유보다는, 사회적 이유가 더 크게 작용한다는 연구 결과들이 많다.
이를 잘 드러내는 예시로,
1999년 워털루 대학교 사회 심리학자들이 진행한 실험이 있다.
이 실험에서 연구 팀은
남녀 집단에게 동일한 고난도 수학 문제를 풀도록 했다.
이 때, 첫 시험에서는 여성 참가자들의 성적이 남성들보다 낮았다.
그러나 두 번째 시험에서는, 시작 직전 참가자들에게,
‘과거 동일 시험을 진행한 결과, 남녀들 사이에 성적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라고 언급했고,
그러자, 여성들의 성적이 남성들과 동일해지는 현상이 관찰된 바 있다.
5. 술을 마시면, 뇌세포가 파괴된다.
과거 덴마크 바톨린 연구소의 과학자들은
사망한 알코올 중독자들의 뇌와 일반인들의 뇌를 서로 비교,
그 뉴런 수가 거의 동일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물론 과다하게 복용했을 경우,
알코올이 뇌세포를 어느 정도 파괴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는 다른 화학 물질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며,
적당량의 음주는 뇌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
6. 좌뇌가 우세하면 논리적 사람, 우뇌가 우세하면 창의적 사람이 된다.
좌·우뇌 중, 더 우세한 쪽에 따라,
개인의 성향이 논리적, 혹은 창의적으로 굳어진다는 믿음은 주변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지만,
이를 명확히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는 현재까지 제시되지 않았다.
오히려, 이를 부인하는 결과들이 종종 발표되는데,
일례로, 2012년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연구 팀은
창의적 사고에 있어서,
좌·우 중 어느 한 쪽이 아닌, 두뇌 전체의 신경계가 활용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정보가 힘이요 미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우리가 흔히 아는 상표의 비밀 (0) | 2016.02.13 |
---|---|
[스크랩] 플라스틱 먹어치우는 애벌레 - 100만년 걸리는 스티로폼,하루만에 분해 (0) | 2016.02.10 |
[스크랩] 세포 하나 만큼 작은 `초미세 3D 격자 구조물` 탄생 (0) | 2016.02.09 |
[스크랩] 아픈 위치별로 알아보는 복통의 원인 (0) | 2016.02.09 |
[스크랩] 전에 못보셨던 분들을 위한 생활의 좋은 정보 (꿀팁) (0) | 2016.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