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가 힘이요 미래다

[스크랩] 흙 종류와 특징 정보모음

코스모칸 2016. 1. 3. 12:12

 

흙의 종류

http://godestiny3.tistory.com/entry/%ED%9D%99%EC%9D%98-%EC%A2%85%EB%A5%98

 

세계의 토양분류

http://rda.go.kr/children/envi/soil_worl_01.jsp?child_menu_id=menu_s1&child_pgr_id=soil_worl

 

소지종류

http://jami.kr/tech/read.cgi?board=jaryo&y_number=24

 

토양을 알자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H6RQ&articleno=4550669&categoryId=67678&regdt=20080301121938

 

 

흙의 종류와 특징

http://cafe.daum.net/yjh7911/GEyS/738?q=%C8%EB%20%C1%BE%B7%F9%BF%CD%20%C6%AF%C2%A1&re=1

 

흙은 다음과 같이 불류될 수가 있습니다.

 

1. 갈색산림토


칼슘염류는 토양에서 거의 용탈 되어 있으나, 철 ·알루미늄의 이동은 일어나지 않고 있습니다.


A층(표층)은 부식의 축적에 의해 암갈색이 된 입자모양의 구조가 발달하고,

B층은 산화철에 의하여 황갈색 또는 적갈색을 띠며, 수목의 뿌리나 지렁이의 교반작용으로

원래의 암석구조를 갖지 않고 덩이모양의 구조가 발달되어 있습니다.


모재인 C층은 각종 암석 또는 사력퇴적물이며, 특정한 모래에 국한하지 않습니다.

부식층은 발달되어 있는 경우와, 그다지 발달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는데,

전자를 엄브렙트라 합니다.


후자에는 염기가 풍부한 유트로크렙트, 염기가 별로 없는 디스트로크렙트가 있으며,

이 밖에 열대지방에서 볼 수 있는 트로펩트가 있습니다.
2. 갈색토


엷은 부식층 바로 밑에 탄산석회분이 집적되어 생성된 토양입니다.

A층(표층)은 갈색 또는 암갈색이며 유기물이 적고, B층은 회갈색이며,

그 아래에 석회의 집적층이 있습니다.


땅이 걸지 않아서 방목지로 이용되며, 농경에는 관개를 필요로 합니다.
3. 경송토


토양학상의 정의는 없으나, 화산회토의 표토처럼 토성은 잘지만 단립구조가 발달하고

부식이 풍부한 경우에 경송토의 성질이 뚜렷해집니다.

토양 중 공극이 80% 정도이고, 강풍이 불면 흩날립니다.


보수성은 크지만, 겨울에는 서릿발이 서기 쉽습니다.


사구지의 표토 등 배수성이 좋은 사질토양도 경송토에 속합니다.

이것은 토성이 섬세한 부식질 토양으로, 구조의 발달이 나쁘고 점성이 강한

중점토와 대조적인 물리성을 갖는 토양입니다.
4. 부식토


흙 속의 미생물 작용에 의하여 부식이 형성됩니다.

일반적으로 부식이 풍부한 흙은 유기성분이 많고 비옥하며, 흑색 또는 흑갈색을 띱니다.


주로 온대 이북지방의 가장 표층부에 발달합니다.

이탄은 부식토의 일종이며, 석탄은 부식토가 변질한 것입니다.
5. 불량토


이 중에는 산성토, 노후답토, 불량한 화산회토, 점질토, 부식과잉토, 사력질토,

흡수력이 매우 낮은 토양, 각종 미량성분이 부족한 토양, 이탄토, 유해성분이

있는 토양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토양은 작토에 개량제 또는 부족성분을 첨가함으로써

고위수량지로 만들 수 있으며 비교적 손쉬운 방법으로 개량할 수 있습니다.
6. 사력질토


모래 함량이 적고 자갈이 많아서 깊이 갈지 못하는 땅도 부분적으로 있으나

대부분은 모래와 자갈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와 같은 사력질로 인하여 작물의 생산이 저하되는 땅은 바닷가나 개울가에 분포되어 있고,

또 모래밭, 개울 상류, 선상퇴토의 상부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땅에서는 기경에 대한 장애나 물 ·거름성분의 저장부족으로 저위생산의 원인이 됩니다.

개량방법은 많은 분량의 찰흙을 객토하거나 깊이갈이를 하고 유기질 비료를 많이 주는 것입니다.


7. 사양토


모래참흙이라고도 합니다.

토양을 입자가 세밀한 점토, 중간입자인 실트, 거친입자인 모래로 나눌 때,

이들이 거의 같은 양 섞여 있는 토양에 비해서 약간 모래가 많은 토양을 사양토라고 합니다.


국제토양학회법에 의하면, 토양은 그 입자의 지름에 따라 자갈(gravel:2.0mm 이상),

모래(sand:거친 것 2.0~0.2mm, 고운것 0.2~0.02mm), 실트(silt:0.02~0.002mm), 점토

(clay:0.002mm 이하)로 나눕니다.


사토(모래흙)와 양토(참흙)의 중간쯤 되는 토양을 말합니다.
8. 사토


모래에는 석영사처럼 반영구적으로 풍화 ·분해하지 않는 것과 장석이나 운모처럼

분해되면 점토분이 되는 것이 있습니다.

전자는 식물의 양분이 되지 않으나 후자는 다소 도움이 됩니다.


사토는 응집력 ·점성이 적어 경작이 쉽습니다.

투수성이 좋고, 보수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밭인 경우는 한발 때 피해를 입을 우려가 있습니다.


양분이 적고, 양분 보유력도 약하지만 밭인 경우에는 비료를 주면 작물이 잘 자랍니다.

배수가 좋은 논인 경우에는 철 ·망간 ·규산 등이 결핍되기 때문에 노후화 논이 되기 쉽고,

습기가 많은 땅에서는 벼의 뿌리가 곧잘 썩습니다.
9. 식양토


국제토양학회법에 따르면 점토 ·모래 ·진흙의 조성비율에 따라 토성을 분류하고

CL(clay loam)의 기호를 붙여 식질양토라고 합니다.


식양토는 점토분이 많은 식토와 점토분이 비교적 적은 양토의 중간 성질을 가지는데

점착력이 크고 양토보다는 경작이 곤란하지만 양분, 특히 보수력이 커서

벼 재배에 적합하고 콩류나 과수류의 재배도 가능합니다.
10. 식토


국제법에서는 점토 ·모래 ·실트의 조성비율에 따라 밭토양의 토성을 분류하여,

식토를 ‘Lic’의 기호로 나타냅니다.

식토는 점토분이 많으므로 수분이나 비료의 유지력은 강하나 반대로 공기의 유통이나

배수가 나쁘고, 경작에 있어서는 점착력이 강해서 불편합니다.


개량법으로는 사토를 적당히 섞어주는 것이 좋은데, 석회 ·퇴비 등의 유기물질

그 밖의 토양개량제를 섞습니다.


그리고 겨울철에는 거칠게 갈아 엎어서 잘 건조시켜 주는 것도 효과가 있습니다.
11. 심토


경운된 부분을 작토라 하고, 그 밑에 있는 토층을 심토라고 합니다.

풍화작용은 불충분하고 유기물을 함유하지 않으나 식생에는 큰 관계가 있습니다.


심토의 구조는 과밀 또는 모래와 자갈이 많고 거친 것은 좋지 않으며, 적당한 사질로

주상구조라고 하는 세로의 가느다란 균열이 있는 것은 배수, 지하수의 상승, 통기 등이 좋고,

뿌리의 성장에 알맞습니다.


심토에는 철 ·규산 등이 침적해서 반층이 생기는 일이 있으며, 또 대형기계로 작토의 경운을

계속하면 단단한 경반이 생깁니다.


이럴 경우, 뿌리는 작토층에만 뻗고 깊이 들어갈 수 없으므로 가끔 깊이갈이를 해서

심토의 조직을 부수어 주어야 합니다.


여기에는 작토와 심토를 혼합하는 일 없이 심토만을 부수어 부드럽게 해주는

심토쟁기(서브소일러)가 사용됩니다.


특히, 근채류의 재배 등에서는 이 효과가 크게 나타납니다.
12. 암설토


얇은 표층토를 이룬 것을 말합니다.

표층토는 거의 없고 바윗조각으로 이루어진 것도 있습니다.

극지, 암석사막의 산지나 경사지, 표토를 벗겨버린 장소 등에 나타납니다.
13. 열대흑색토


대체로 버티졸에 해당한다고 생각됩니다.

유기물의 함량은 비교적 적지만, 암색을 띤 표층토로서, 구조가 잘 발달하여

건조 수축에 의한 미기복을 나타냅니다.


주로 염기성암을 모재로 하여, 몬모릴로나이트를 주로 하는 점토함량이 높은 토양입니다.

현저한 건기 및 습기를 가진 기후하에서 발달한 토양입니다.


레구르 ·블랙코튼 토양 ·스모니차 ·마가라이트 토양 등을 포함합니다.
14. 이탄토


지하 1 m 이하의 얕은 곳에 미분해된 이탄층을 가지고, 지표부분에서는 분해가 진척되어

토양화된 것입니다.


보통, 표토에서도 50 % 이상의 유기물 함유율을 나타내어 농업생산력은 낮습니다.

저위로부터 고위에 이르는 각종 이탄지에 생성되며, 지하수위가 얕기 때문에 그레이층을

수반합니다.


분해한 흑니토와 함께 유기질토양이라고 합니다.
15. 잔적토


원적토 ·정적토라고도 하며, 운적토에 대응되는 말입니다.

모암의 성질 외에도, 그곳의 기후나 식생의 영향을 크게 받아 특유한 토양단면을 나타냅니다.


온대에서는 표층은 일반적으로 동식물의 유체의 영향을 받아 거무스름해지고,

그 아래층은 세립물질이 많고 위에서 내려온 화학성분이 집적한 층을 이루며,

모암 바로 위의 토층은 모난 돌멩이가 섞인 토양으로 되어 있습니다.


토양단면의 상태는 기후대마다 달라서, 기후대와 일치되는 것을 성대토양, 국지적으로

수분의 과소 등에 영향을 받아 발달한 것을 국지토양이라 합니다.
16. 적토


염기의 용탈이 심하여 철 ·알루미늄의 이산화물의 집적으로 적색이 강한 것이 특징입니다.

고온 때문에 부식의 축적이 적어서 포드졸화 작용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적토는 현재의 기후에 의한 산물은 아니고, 과거 지질시대의 간빙기에 생성된 토양이라

간주되며, 마지막 빙하기 이후에 성립된 지면에서는 존재하지 않음이 밝혀져 있습니다.

적토는 지중해 연안의 적색 토양, 즉 테라로사와는 다릅니다.
17. 중점토


국제법의 입도 구분에 의한 점토(2 이하의 입자)가 흙덩어리 중에서 무게의 반 이상을

차지하는 토양을 말하며 수분을 함유하면 강한 점성을 나타냅니다.


농경지 토양일 경우는 경운이 매우 곤란하고, 건조하면 딱딱하게 응고하여 갈라져서

틈이 생기기 쉽습니다.


주로 해저 퇴적물의 점토층이 풍화된 토양 등에서 볼 수 있습니다.
18. 풍적토


해안사구나 내륙사구에서 사구가 고정되어 식물이 나면 토양이 생성되는데,

그 사질토양도 풍적토입니다.


중국 화베이의 황토, 러시아 남부와 루마니아 ·헝가리 등의 빙석점토가 운반되어 온

황토도 풍적토입니다.
19. 프레리토


브루니젬토(brunizem soil)라고도 합니다.

미국 토양분류의 7차 시안에서는 몰리솔목의 유돌 아목에 해당합니다.


주로 빙성점토 또는 로이스를 모재로 한 토양입니다.

미국의 콘벨트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동쪽에는 습윤기후에서 회갈포드졸 등과 접하고

서쪽에는 건조기후에서 밤색토 및 한랭지의 체르노젬토 등과 접합니다.
20. 화산회토


앤도 토양이라고도 합니다.

부식층은 두껍고 검정색 또는 암갈색이며 다음 표층은 황갈색을 띱니다.


유기물 ·염기 및 인산의 유지력은 강합니다.

습윤 기후하에서는 염기가 결핍되어 강한 산성을 띠는 일이 많고,

또 인산이 결핍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벼운 흙이므로 풍식을 받기 쉽고, 인산이 결핍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히 풍식방지에 힘쓰고,

인산 비료를 많이 주어야 합니다.


화산모래를 모재로 한 비트란뎁트(Vitrandept)는 오팔 등을 함유하는 경반층을 가지며,

듀란뎁트(Durandept), 한랭지에 발달하는 크리안뎁트(Cryandept), 염기가 결핍된

디스트란뎁트(Dystrandept), 염기가 풍부한 유트란뎁트(Eutrandept) 등지에 있습니다.


뉴질랜드 ·칠레 ·알래스카 ·인도네시아 ·하와이 ·아프리카 동부 등지에 분포합니다.

출처 : http://tip.daum.net/question/48155777

출처 : 그날이 오면.....
글쓴이 : 손오공(대구) 원글보기
메모 :